(1) 수평풍하중의 적용방향관련 질의사항입니다. 1) 타원형 평면에서 수평풍하중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외벽면에 직각으로 적용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아니면 건물의 주축에 평행하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2) 단면에서 벽체 또는 기둥이 지표면에 수직이 아닌 경우 <그림1>과 같이 “벽체 수평풍하중이 지표면과 평행하게 적용”하는지요 아니면 <그림2>와 같이 “벽체 수평풍하중이 벽체에 직각으로 적용”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2) 타원형평면의 수평풍하중 적용시 벽체의 구분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타원형 평면에 수평풍하중을 적용시 <그림1>과 같이 풍상벽, 풍하벽, 측벽을 구분하여
풍하중을 적용하는지요 아니면 <그림2>와 같이 풍상벽과 풍하벽만으로 구분하여 풍하중을
적용하는지요 아니면 원형평면을 가진 밀폐형건축물의 주골조설계용 설계풍압에 대한 식 “pF= GD*qH*CD”를 적용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
만약 <그림1>을 적용시 풍상벽, 풍하벽, 측벽의 경계를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제목
타원형 평면의 수평풍하중 적용에 대한 문의
타원형 평면의 수평풍하중 적용에 관련 하여 아래와 같이 질의를 드립니다.
(1) 수평풍하중의 적용방향관련 질의사항입니다. 1) 타원형 평면에서 수평풍하중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외벽면에 직각으로 적용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아니면 건물의 주축에 평행하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2) 단면에서 벽체 또는 기둥이 지표면에 수직이 아닌 경우 <그림1>과 같이 “벽체 수평풍하중이 지표면과 평행하게 적용”하는지요 아니면 <그림2>와 같이 “벽체 수평풍하중이 벽체에 직각으로 적용”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2) 타원형평면의 수평풍하중 적용시 벽체의 구분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타원형 평면에 수평풍하중을 적용시 <그림1>과 같이 풍상벽, 풍하벽, 측벽을 구분하여
풍하중을 적용하는지요 아니면 <그림2>와 같이 풍상벽과 풍하벽만으로 구분하여 풍하중을
적용하는지요 아니면 원형평면을 가진 밀폐형건축물의 주골조설계용 설계풍압에 대한 식 “pF= GD*qH*CD”를 적용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
만약 <그림1>을 적용시 풍상벽, 풍하벽, 측벽의 경계를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