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군산대학교에 재학 중인4학년 이선호라고 합니다.
CLT에 대해 알아 보던 중 목조 건축에 대해 관심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철근 콘크리트, 철골구조와 달리 목구조 같은 경우는 구조 해석을 어떻게 하는 건지 여쭤 보고 싶어 글을 남겼습니다. 목구조 또한 마이다스를 활용하는 것 인가요??
- 목구조의 경우에는RC구조나 Steel구조가 한계상태설계를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허용응력설계로 구조해석을 합니다. 허용응력설계란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하중조합에 의해 계산된 각 부재의 최대 응력도가 미리 정해진 부재를 구성하는 목재의 허용응력도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따라서 목구조 또한 마이다스로 모델링하여 각 부재의 응력도를 구한 후 국가건설기술센터에서 확인할수 있는 “KDS 41 30 00 목구조설계기준”에 정의되어 있는 기준허용응력을 적용하여 구조계산을 하게 됩니다.
CLT를 사용했을 시 접합부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CLT의 접합부 또한 “KDS 41 30 00 목구조설계기준”에 있는 규격제품을 사용할 경우 허용응력 산정방법을 적용하거나, 다른 별개의 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해당 제품의 시험성적서에 표기된 허용응력을 적용하고 그 값과 마이다스로 계산한 응력도의 값으로 구조계산을 하게 됩니다.
또 접합철물의 형상과 능력에 따라 마이다스에서 해당 접합부를 스프링으로 모델링을 하고, pushover 해석을 진행한후 접합철물의 성능곡선을 확인하여 해당 접합철물이 구조성능을 만족하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만약 접합부의 상세거동을 확인하고 싶다면 ABAQUS 와 같은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T를 사용했을 때 접합부는 주로metal plate나 metal bracket을 사용하게 됩니다. CLT의 경우에는 주로 벽체나 바닥구조로 사용되고, 프레임 구조엔 글루렘을 사용합니다.
-------------------------------------------------------------------------------------------------------
|